최근 파이코인이 상장한 후의 시세 흐름과 함께,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 바이비트 거래소의 해킹 사건에 대해서도 짚어보겠습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여러 불안 요소로 인해 변화가 심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특히 파이코인의 경우 상장 후의 시세 변동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과연 파이코인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지 궁금한데요 파이코인의 대략적인 것들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장 후 시세 흐름
파이코인은 지난 20일, OKX, 비트겟, MEXC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면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상장 직후에는 700%의 폭등을 기록하며 많은 투자자들의 기대를 모았죠. 하지만 이내 시세는 급락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약 0.7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는 상장 초기 2달러에서 큰 폭으로 하락한 수치로, 많은 투자자들이 실망감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에요. 특히, 파이코인을 채굴해 온 보유자들이 매도 물량을 쏟아내면서 가격 상승에 제약을 주고 있다는 점이 우려스러운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에서도 공짜로 받은 코인을 팔고 싶은 사람만 많고, 실제로 매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적다는 반응이 많아요. 이런 상황에서 일반 투자자들이 얼마나 매수에 나설지는 의문이 남습니다. 따라서 파이코인에 대한 접근은 신중해야 할 것 같아요. 단기적인 시세 변동에 휘둘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거래소 물량과 매도 압력
상장 후 3일 동안의 차트를 살펴보면, 현재 시세가 바닥을 다지고 있는 모습이 보이긴 하지만, 여전히 걱정스러운 부분이 있어요. 현재 파이코인이 상장된 거래소의 물량을 확인해 보면, OKX에 4천1백만 개, 비트겟에 5천1백만 개, 게이트아이오에 2천9백만 개가 남아 있습니다. 총합하면 약 1억 2천만 개의 물량이 거래소에 남아 있다는 것이죠. 상장 하루 전에 거래소로 몰린 물량이 약 1억 3천만 개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세가 반등할 때 매도 물량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매도 압력은 단기적인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물론 상장 초기에는 매도 물량이 많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로 인해 가격이 계속 하락할 경우 투자자들의 심리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코인에 대한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이러한 물량 상황을 잘 이해하고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미국 자금 유입의 가능성
파이코인이 상장된 거래소들은 현재 미국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거래소들이에요. 따라서 미국의 자금이 유입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만약 바이낸스 거래소에 상장된다면, 미국의 막대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도 열려 있어요. 이는 파이코인의 시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죠. 아직 상장한 지 3일밖에 되지 않았고, 파이코인의 생태계가 붕괴되었다고 단정하기에는 이르다고 생각해요. 전 세계적으로 1억 명 이상이 파이 네트워크를 다운로드했으며, 6천만 명 이상의 유저가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의 흐름을 좀 더 지켜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상장 초기의 시세 변동에 실망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이코인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좋겠죠. 마지막으로, 최근 바이비트 거래소의 해킹 사건이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해요. 약 2조 원 규모의 해킹 사건으로, 블룸버그는 북한의 해킹 조직 라자루스의 소행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파이코인은 오랜 시간 사용자층을 넓혀 왔고 현재 해외 거래소 상장 시점 기준 1,9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며 기술적인 부분부터 공정성 및 투명성이 어느 정도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 거래소에서도 상위 10위권에 랭크가 되어 있어, 신규 코인치고는 어느 정도 안정적인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데요 모바일로도 아주 쉽게 채굴할 수 있다는 점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고 실제로 어플을 설치하고 나면 5분 안에 채굴이 가능한 구조이기에 이 쉬운 접근성으로 인해 그렇게 많은 유저들을 모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일부 거래에서만 거래되고 있으며,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 같은 대형 플랫폼에는 아직 상장되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투자자는 항상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USDT)의 의미와 전망 (0) | 2025.03.04 |
---|---|
경기침체와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는 법 (0) | 2025.03.03 |
국내 건설업의 위기와 대응 방안 (0) | 2025.02.28 |
토지거래허가제의 의미와 향후 전망 (0) | 2025.02.27 |
롯데건설의 유동성 위기와 전망 (0) | 2025.02.27 |